티스토리 뷰
- 견성성불 불립문자
교외별전 敎外別傳 선종禪宗에서 말이나 문자를 쓰지 않고, 따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진리를 전하는 일. 달마達磨에 의해 중국에 전해진 조사선 교외별전, 불립문자, 직지인심, 견성성불
견성성불見性成佛은 자기본성을 보면, 즉 자기 자신의 본래 모습참나을 깨쳐서 . 즉,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해야 견성성불 할 수 있다. 견성성불見性成佛
ps. 그렇나 마지막까지 엄마가 싫어하는 불경구절 knowm sayn?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不立文字 敎外別傳 直指人心 見性成佛 말이나 글로 설명하지 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조계종포교원 간화선입문2장 7.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조사선의 특징은 다음 네 구절의 게송으로 간결하게 정리된다. 경전 밖에 따로 전해지는 가르침 조계종포교원 간화선입문2장 7.불립문자 교외별전 직지인심 견성성불
- 견성성불 직지인심
원래 불립문자不立文字, 교외별전敎外別傳,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이라는 4구가 하나로 연결된 언구이다. 따라서 이 네 구절은 직지인심直指人心 견성성불見性成佛
그러므로 직지인심은 선종을 여타의 불교 종파와 구분 짓는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직지인심은 견성성불見性成佛, 돈오頓悟 등의 용어와 연관되어 사용 직지인심直旨人心
직지인심은 곧바로 사람 마음을 가리킨다는 뜻이다.문자나 언어를 빌리거나 외적 대상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의 마 음을 잘 응시해서 직접 직지인심.견성성불直指人心.見性成佛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 천년사찰 황악산 직지사 가볍게 다녀오는 사찰여행기인데, 갑자기 한자까지 써가며 제목을 적어 보았습니다. 황악산 직지사는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指人心 見性成佛, 천년사찰 황악산 직지사
- 견성성불 유래
이 견성성불은 자기 마음을 바르게 가져, 자기 자신이 곧 부처임을 깨쳐야 한다는 선종禪宗의 이치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말이다. 견見이란 눈 견성성불見性成佛
선종禪宗에서는 자신의 마음을 직시하여 본성을 봄으로써 깨달음을 얻어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견성성불見性成佛을 종지宗旨로 여긴다. 이러한 한자표제 見性成佛 견성성불見性成佛
그대로 부처가 된다. 흔히 직지인심 견성성불直旨人心 見性成佛 이라 하는데혜가慧可와 달마와의 문답에서 유래하였다 . 혜가가 달마에게 불도를 얻는 법을 견성성불見性成佛